원드라이브(onedrive)는 윈도우 OS에서 기본으로 탑재된 클라우드입니다. 많은 분들이 컴퓨터의 로컬 디스크를 원드라이브와 동기화해서 쓰고 계신데요. 컴퓨터를 오래 쓰다 보면 원드라이브의 용량이 다 차버리곤 하죠.
이때 많은 분들이 원드라이브를 삭제하거나 동기화를 해제하려고 하십니다. 그래서 오늘은 원드라이브 삭제 방법 및 동기화 해제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원드라이브 동기화 해제 방법 2가지
원드라이브를 완전히 삭제하기에는 꺼림직해서 동기화만 잠시 해제하고자 하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그런 분들은 아래 방법대로 원드라이브 동기화를 해제하시면 됩니다.
1.1 모든 폴더를 동기화 해제
먼저 일시적으로 파일 동기화를 중지하는 방법입니다.
1. 작업표시줄에서 원드라이브 아이콘을 찾습니다. (회색 구름 모양 아이콘)

2. 이 아이콘을 우클릭하여 동기화 일시 중지를 클릭합니다.
3. 동기화를 몇 시간 동안 해제할 지 선택합니다.

1.2 일부 폴더만 동기화 해제
컴퓨터에 있는 특정 폴더만 동기화를 해제하고 싶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참조하세요.
1. 먼저 위에서 설명드린 방법대로 원드라이브 아이콘을 찾아 우클릭합니다
2. 다음으로 ‘설정’ 탭으로 들어간 뒤, ‘계정’ 탭으로 들어갑니다.
3. 위 사진에서에서 ‘폴더 선택’을 클릭합니다.

4. 원드라이브와 동기화 된 폴더가 나오면 지우고자 하는 폴더를 체크 해제합니다.

참고로 위 화면에서 나타난 폴더만 동기화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다른 폴더는 원드라이브와 동기화 할 수 없는 폴더, 혹은 필수적으로 동기화 해야만 하는 폴더입니다.
2. 원드라이브 동기화 해제가 안될 때는?
원드라이브 동기화 해제가 안 된다면 원드라이브 자체를 삭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방법은 다소 일시적인 방법인데 비하여, 원드라이브 자체를 삭제한다면 반영구적으로 원드라이브를 쓰지 않아도 됩니다.
원드라이브 삭제 방법은 다음 3단계를 따릅니다.
- ‘윈도우키+R키’를 눌러 실행창을 엽니다.
- 명령어 ‘control’을 입력하여 제어판을 엽니다.
- ‘프로그램 제거’ 란에 들어갑니다.

위 화면에서 Microsoft onedrive를 찾아서 제거하면 삭제가 완료됩니다.

참고로 저는 윈도우 11을 기준로 보여드렸지만, 이 방법은 윈도우 7과 1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 8.1에서는 원드라이브가 기본 내장 프로그램을 탑재되어 있어 제거할 수 없습니다.
참고로 안드로이드 등 스마트폰에서는 ‘설정 > 메모리 > 원드라이브 삭제’ 순서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원드라이브 삭제 방법 및 동기화 해제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만약 더 용량이 큰 드라이브를 원하신다면 구글 드라이브를 이용해 보세요. 구글 드라이브는 원드라이브보다 10GB 더 많은 15GB를 무료로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