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윈도우 업데이트 끄기, 2가지 쉬운 방법

윈도우10은 자동 업데이트를 기본 정책으로 합니다. 자동 업데이트를 하면 windows 버전을 최신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편하긴 하지만, 업데이트 된 윈도우 버전이 오히려 불편할 때도 많습니다. 자주 업데이트를 하다 보면 용량도 금방 차구요.

그래서 오늘은 윈도우10에서 업데이트를 끄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윈도우 업데이트가 지나치게 밀리면 보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마이크로소프트도 자동 업데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것인데요. 이 점을 충분히 인지하시고 업데이트를 끄는 것을 권장합니다.

1. 시스템 설정에서 일시 중지1

이 방법은 1일~35일 사이의 기간 동안 업데이트를 중단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일시적이지만,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이기 때문에 가장 안전합니다. 다음 순서를 따라해주세요.

  1. 시작- 설정(톱니바퀴 아이콘) – 업데이트 및 보안
  2. [고급 옵션] 클릭
  3. 업데이트 일시 중지할 날짜 설정
  4. 다시 Windows 업데이트 창으로 뒤로 가기
  5. 업데이트 일시 중지 클릭
윈도우10 업데이트 및 보안
시작-설정-업데이트 및 보안
고급 옵션 정지 날짜 설정
고급 옵션-정지 날짜 설정
Windows 업데이트-업데이트 일시 중지 클릭
Windows 업데이트-업데이트 일시 중지 클릭

위 방법은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를 참조했습니다.

2. 윈도우 업데이트 무기한 정지

위 방법으로는 최대 35일까지 윈도우 업데이트를 중단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만약 사용자가 다시 설정을 바꾸기 전까지 윈도우 업데이트를 끄려면 어떻게 해야 할 지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3단계 방법을 순서대로 따라할 것을 권장합니다.

2.1 로컬 정책 편집기 이용하기

  1. ‘윈도우키+R키’로 실행창 열기
  2. 명령어 ‘gpedit.msc’ 입력하여 로컬 정책 편집기 열기
  3. 컴퓨터 구성-관리 템플릿-windows 구성 요소-windows 업데이트-자동 업데이트 구성 순으로 더블 클릭하여 진입
  4. 좌측 상단의 ‘사용 안함’ 클릭 후 확인 클릭
윈도우키+R키 클릭 후 gpedit.msc 클릭
윈도우키+R키 클릭 후 gpedit.msc 클릭
윈도우 업데이트 진입
자동 업데이트 구성-사용 안함
자동 업데이트 구성-사용 안함

2.2 서비스 메뉴 이용하기

  1. ‘윈도우키+R키’로 실행창 열기
  2. 명령어 ‘services.msc’ 입력하여 서비스 메뉴 열기
  3. windows update 마우스 우클릭 – 속성
  4. 일반-시작 유형 ‘사용 안 함’ 선택
  5. 복구-첫째~셋째 실패 모두 ‘동작하지 않음’ (자동 업데이트 방지)
  6. 확인 버튼 클릭
  7. 윈도우 업데이트 끄기 완료
윈도우+R키 클릭 후 services.msc 클릭
윈도우+R키 클릭 후 services.msc 클릭
windows update 우클릭
windows update 우클릭
일반-시작 유형-사용 안함
일반-시작 유형-사용 안함
복구-실패 시 동작 안함
복구-실패 시 동작 안함

2.3 윈도우 업데이트 꺼졌는 지 확인

  1. 시작-설정-업데이트 및 보안
  2. 아래와 같이 ‘조직에서 윈도우 업데이트를 껐습니다.’라는 메시지 확인
조직에서 자동 업데이트를 껐습니다.
조직에서 자동 업데이트를 껐습니다.

참고로 2번 방법은 윈도우 11에서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 11을 사용하는 것 자체가 불편하다면 윈도우10으로 다운그레이드 하시기 바랍니다.

  1. 윈도우11에서는 고급 옵션에 들어갈 필요 없이, ‘업데이트 및 보안’에서 1~5주 사이의 업데이트 정지 기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별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별점 5 / 5. Vote count: 1

No votes so far! Be the first to rate this post.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