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하드웨어 가상화 사용 설정 방법 (윈도우)

한 개의 pc에서 여러 개의 OS(윈도우11, 윈도우10, 안드로이드, Mac 등)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하드웨어 가상화를 사용하는 건데요. 보통 개발자분들이 많이 쓰지만, 일반인들도 게임 등을 할 때 하드웨어 가상화를 많이 사용합니다. (일부 게임은 하드웨어 가상화를 해야지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하드웨어 가상화 사용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글은 제가 현재 사용하는 AMD 라이젠 CPU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그렇지만 다른 회사 CPU를 이용하는 분들도 이 글을 통해 하드웨어 가상화 설정 방법을 알 수 있을 겁니다.

AMD 하드웨어 가상화 사용 설정 방법 알아보기
AMD 하드웨어 가상화 사용 설정 방법 알아보기

1. 미리 알아두어야 할 점

1.1 하드웨어 가상화(VT)란?

먼저 하드웨어 가상화에 대한 개념부터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이미 알고 계신 분들은 이번 장은 건너 뛰셔도 됩니다.

일반적으로 여러분은 지금 pc에는 하나의 OS만 작동되고 있습니다. 가령 여러분들은 현재 컴퓨터에서 윈도우를 쓰면서 동시에 맥(Mac)을 쓰고 있지 않을 겁니다. 그리고 이렇게 사용하더라도 게임이나 일반 문서 작업, 영상이나 이미지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는 전혀 지장이 없습니다.

하지만 가끔 하나의 pc에 여러 개의 OS를 작동시키면 편할 때가 있습니다. 마치 여러분이 동시에 여러 창을 띄워놓고 컴퓨터를 하는 것 처럼요. 이렇게 하나의 pc에 여러 개의 os를 가상으로 작동하는 것을 하드웨어 가상화라고 하는데요. 하드웨어 가상화를 쓰면 편한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개발 환경 테스트: 개발자들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모든 OS에서 잘 작동하는 지 테스트합니다.
  • 서버 운영: 여러 개의 서버를 운영할 때, 다양한 OS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굳이 여러 개의 pc를 쓰지 않고 하나의 pc에서 서버를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입니다.
  • 프로그램 호환: 일부 프로그램은 특정 OS 상에서만 잘 작동합니다. 이때 특정 OS 환경을 이용하기 위해 하드웨어 가상화를 사용합니다.
  • 백업: 가상화 된 pc에 필요한 데이터를 편하게 백업할 수 있습니다.
  • 게임: 일부 게임은 하드웨어 가상화 환경에서만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하드웨어 가상화란 무엇인지 알려드렸는데요. 여기까지만 알아도 충분하지만, 더 공부하고 싶은 분들을 위해 하드웨어 가상화에 대해 매우 잘 정리된 블로그를 소개합니다.

1.2 내 pc는 하드웨어 가상화가 가능할까?

안타깝지만 모든 pc에서 하드웨어 가상화가 가능하지는 않습니다. 과연 내 pc에서 하드웨어 가상화를 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2.1 인텔 CPU 확인 방법

먼저 인텔 프로세서 유틸리티를 다운받습니다. 왼쪽 링크에서 utility-legacy 말고 위 쪽에 있는 최신 버전의 파일을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파일을 다운받고 실행한 뒤에는 cpu technology 탭을 확인하면 됩니다. 여기서 virtualization Technology에 체크 표시가 되어 있으면 하드웨어 가상화가 가능한 것입니다.

인텔 cpu 확인 방법
출처: BlueStacks

1.2.2 AMD CPU 확인 방법

이번에는 AMD-V 유틸리티를 다운받습니다.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어준 뒤, amdvhyperv.exe 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관리자 권한 없이 그냥 실행하면 에러납니다.

저는 현재 bios에서 가상화 설정을 해 놓지 않아서 아래 사진처럼 하드웨어 가상화가 불가능하다고 나옵니다. 이런 경우 bios에서 하드웨어 가상화 설정을 해주면 됩니다.

AMD CPU 확인 (가상화 불가능)
AMD CPU 확인 (가상화 불가능)

만약 하드웨어 가상화가 바로 가능한 상태라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아마 처음부터 윈도우11을 쓰신 분들은 아래 사진처럼 이렇게 하드웨어 가상가 바로 가능한 상태일 겁니다. 하지만 윈도우10에서 윈도우11으로 업그레이드 하신 분들은 BIOS에 진입해서 하드웨어 가상화 설정을 해 줘야 합니다.

AMC CPU 확인 (가상화 가능)
출처: BlueStacks

2. 하드웨어 가상화 사용 설정하기

이미 하드웨어 가상화가 가능한 상태로 확인되었다면 ‘3.1 바이오스 진입하기’ 단계와 ‘3.2 cpu 가상화 활성화’ 단계를 거칠 필요가 없습니다. 이런 분들은 마지막 단계인 ‘3.3 가상화 머신 플랫폼 및 hyper v 활성화’ 부분만 실행하면 됩니다.

그리고 하드웨어 가상화 설정을 하기 전에 컴퓨터의 cpu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현재 컴퓨터의 cpu를 모르면 링크를 눌러주세요.) cpu에 따라 하드웨어 가상화를 표현하는 용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인텔 환경에서는 하드웨어 가상화를 vt로 표현하고, AMD 환경에서는 SVM으로 표현합니다. 저는 현재 AMD 라이젠 CPU를 쓰고 있기 때문에, SVM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겠네요.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하드웨어 가상화 사용 설정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2.1 BIOS 진입하기

바이오스(BIOS)란 pc와 운영체제(OS)를 이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냥 깡통일 뿐인 노트북 하드웨어를 윈도우나 MAC같은 OS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드웨어 가상화 설정을 하려면 이 BIOS 환경에 진입해야 합니다.

윈도우10이나 윈도우11에서 BIOS에 진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작] 버튼 눌러 [설정] 화면 진입
  2. [시스템]에서 [복구] 버튼 클릭
  3. [고급 시작 옵션 클릭]
BIOS 진입 방법
BIOS 진입 방법

2.2 가상화 활성화

BIOS 환경에 진입했다면 이제 가상화 기능을 활성화 시켜야 합니다. 그런데 BIOS에 진입한 후에도 pc마다 가상화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과정이 조금씩 다릅니다. 아래 영상을 참조하시면 다양한 pc 환경에서 하드웨어 가상화를 설정하는 과정을 볼 수 있습니다.

출처: 유튜브 컴일병 구하기

대부분의 메인보드에서는 advanced mode(고급 설정)에 들어가면 가상화를 ON 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아래 경로를 따릅니다. 다만 msi에서만 ‘오버 클럭’ 메뉴로 들어가야 조작이 가능하네요.

  • ASUS: advanced mode -advanced-cpu-configuration
  • 애즈락: ADvanced – cpu configuration
  • 기가바이트: mit – advanced frequency settings – advanced cpu core settings
  • msi: overclocking – cpu features

저는 레노버 pc를 쓰고 있으므로 레노버 메인보드를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BIOS 진입 후, 우선 [문제 해결] 란에 들어갑니다.

문제 해결 들어가기
문제 해결 들어가기

다음에는 [고급 옵션]을 누릅니다.

고급 옵션 들어가기
고급 옵션 들어가기

다음으로는 UEFI 펌웨어 설정에 들어갑니다.

UEFI 펌웨어 설정 들어가기
UEFI 펌웨어 설정 들어가기

여기서 Configuration 항목 중 [AMD SVM Technology]가 Enabled 되어 있어야 합니다. 여기까지 설정을 마쳤으면 F10을 눌러 저장한 후 나옵니다. (AMD는 SVM, 인텔은 VT가 가상화 설정이라고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AMD SVM Technology 확인
AMD SVM Technology 확인

2.3 가상화 머신 플랫폼 및 hyper v 활성화

2.3.1 사용하고자 하는 OS의 iso 다운로드

여기까지 하셨으면 하드웨어 가상화가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었을 겁니다. 이미 하드웨어 가상화가 가능한 분들은 위 설정을 거칠 필요 없이, 지금 보여드리는 과정부터 따라오시면 됩니다.

먼저 이용할 OS의 iso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저는 윈도우10을 이용하고 싶어서 윈도우 10 iso를 다운받겠습니다.

2.3.2 다운받은 OS로 하드웨어 가상화

다운받은 OS를 불러오는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과정을 통해 컴퓨터에 가상 컴퓨터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만약 아래 과정이 진행되지 않는다면 Hyper-v가 아닌 VMware를 이용하세요.

먼저,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및 기능’을 들어간 뒤, ‘Windows 기능 켜기/끄기’ 버튼 클릭합니다. 여러 체크 리스트 중 ‘가상 머신 플랫폼’과 ‘hyper-v’를 체크하고 재부팅합니다.

제어판-프로그램 및 기능-Windows 끄기/켜기-Hyper-v 체크
제어판-프로그램 및 기능-Windows 끄기/켜기-Hyper-v 체크

재부팅이 끝났으면 Hyper-v 관리자 모드에 진입합니다. 작업 표시줄 검색창에 ‘hyper v 관리자‘라고 검색하면 접속이 가능합니다.

Hyper-V 관리자에서는 자신의 데스크탑 모델명 클릭합니다. 그리고

[동작] – [새로 만들기] – [가상 컴퓨터]

경로로 들어가주세요.

하이퍼v 실행-새로 만들기 클릭
하이퍼v 실행-새로 만들기 클릭

다음과 같은 팝업창이 나오면 안내에 따라 옵션을 설정하고 가상 컴퓨터를 설치하면 됩니다. 이때 두 가지만 주의해주세요.

  • 가상 컴퓨터에 할당하는 메모리는 4000MB 이상을 할당해야 합니다.
  • 가상 하드 디스크 연결 시: 가상 하드디스크 만들기-설치 옵션:부팅 가능cd/dvd-rom에서 운영체제 설치-이미지 파일-다운받아 둔 iso 파일 다운로드
가상 컴퓨터 옵션 설정
가상 컴퓨터 설정 완료

모든 과정을 마치면 하드웨어 가상화가 완료됩니다.

이제 다운 받은 가상 컴퓨터를 실행합니다. Hyper-v 화면에서 새로 만든 가상 컴퓨터를 실행합니다.

Hyper-v에서 새 가상 컴퓨터 실행
Hyper-v에서 새 가상 컴퓨터 실행

그 뒤로는 안내에 따라 윈도우를 설치하면 됩니다. 윈도우를 설치하는 과정1은 링크를 통해 안내드립니다.

이제 컴퓨터 안에 또 하나의 컴퓨터를 두고 가상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영상을 통해 진행 과정을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여기 ITSSUE

  1. 출처: kadosholy 블로그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만, 구매자에게는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별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별점 4.3 / 5. Vote count: 21

No votes so far! Be the first to rate this post.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