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의 속도는 정말 빨라지고 있습니다.
5년 전에 여러분이 썼던 컴퓨터와 지금 컴퓨터의 속도 차이를 비교해보세요. 아마 지금에 비해 훨씬 느릴 겁니다. 이렇게 컴퓨터의 속도가 비약적으로 빨라진 데에는 램(RAM)의 발달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물론 램이 컴퓨터의 속도를 전적으로 결정하는 건 아닙니다.)
2023년 기준 가장 발달한 램은 ddr5라는 램입니다.(2020년 출시) 그 전까지는 ddr4라는 램을 사용했는데요. 아마 많은 분들이 지금 ddr4를 사야할 지, ddr5를 사야할 지 고민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ddr4 ddr5 차이를 쉽게 알아보고, 무엇을 구매하면 좋을지 분석하는 글을 작성했습니다.

목차
1. 미리 알아두어야 할 점
1.1 DDR 개념
DDR은 “Double Data Rate”의 약자로, 컴퓨터 메모리 기술 중 하나를 나타냅니다. DDR 메모리 이전에는 DRAM을 사용하였는데, DDR을 쓰게 되면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많이 빨라졌습니다. 이는 과거와 달리 DDR 메모리에서 각 클럭 주기마다 데이터를 두 번 전송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DRAM에서는 한 번만 전송했습니다.)
DDR 메모리는 DDR, DDR2, DDR3, DDR4, DDR5 순으로 발달했습니다. 당연히 각 세대마다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전력 효율 등이 개선되었죠. 이번에 알아볼 최신 DDR5 메모리는 당연히 모든 DDR 중 가장 빠르고 전력 소모도 낮습니다.
그래도 사실 일상적인 작업에서는 지금 많이 쓰는 ddr4와 ddr5 사이 큰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컴퓨터를 좋아하시는 분들이나 사양이 무거운 게임을 즐기는 분들은 DDR 메모리를 업그레이드하는 방식으로 컴퓨터 업그레이드를 많이 합니다.
1.2 ddr4 dddr5 호환 문제
한 가지 유의할 점이 있습니다. 단순히 ddr5 램만 사서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에 끼울 수 없니다. 램을 교체할 때는 메인보드라는 회로판에 끼워야 하는데, 이때 ddr4를 끼울 수 있는 메인보드가 있고, ddr5를 끼울 수 있는 메인보드가 있습니다. 즉, 메인보드와의 호환이 안 맞을 수 있다는 겁니다.
따라서 ddr4에서 dd5로 업그레이드를 하려면 메인보드까지 바꿔야 하는데요. 메인보드의 가격이 10만원~50만원 수준임을 고려하면, ddr4에서 ddr5로 단순히 램만 바꿔서 넘어가는 선택은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램보다 메인보드 때문에 돈이 더 많이 드는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황이 나올 수 있으니까.
2. ddr4 ddr5 차이
2.1 ddr4 ddr5 가격 차이
우선 ddr4와 ddr5의 가격 차이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당연히 ddr5가 ddr4보다 최근에 나온 만큼 성능도 좋고 가격도 비쌉니다. 2020년 첫 출시 당시에는 삼성 램 기준 2~3만원까지 가격 차이가 났는데요. 다행히 요즘에는 ddr4와 dd5의 가격 차이가 4000원~10000원도 수준으로 많이 좁혀졌습니다.
쿠팡에서는 심지어 8기가 램 기준 dd5가 ddr4 보다 저렴한 제품도 있습니다. (쿠팡 판매자들의 독특한 유통 구조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번에는 마이크론의 램을 비교해보겠습니다. 16gb 기준 약 10000원 정도 차이가 납니다.

다음은 하이닉스의 램입니다. 16gb 기준 25,000원 정도 차이가 납니다. 하이닉스 제품은 비교적 차이가 크네요.

종합해보면 ddr4와 ddr5의 가격 차이는 10000원 안팎으로, 크게 부담되지 않는 수준인 것 같습니다. 물론 기타 여러 가지 사양도 종합해야 하므로 어느 정도 오차는 있을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ddr4와 ddr5의 성능 차이를 보겠습니다. ddr4와 dd5는 크게 클럭 속도, 기어비, 전력 소모에서 차이가 납니다.
2.2 ddr4 ddr5 클럭 속도 차이
클럭 속도란 1초 동안 처리하는 데이터의 수를 의미합니다. 클럭 속도는 Hz 단위로 표현되고, 이 수치가 높을 수록 컴퓨터 동작 속도가 빠릅니다.
사실 요즘은 대부분 2133Mhz 이상의 램을 사용해서 일상 작업에는 큰 차이를 못 느낄 정도로 빠릅니다. (1Mhz = 1,000,000 hz) 아마 여러분도 일상 작업을 하는 데 문제가 없다면 모두 2133Mhz 이상의 램을 쓰고 있을 겁니다. 다만 배틀그라운드처럼 무거운 게임을 할 때 램 클럭 속도의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ddr4는 처음 출시될 당시 1600Mhz 정도였고, 현재 가장 빠른 제품은 4400Mhz 수준입니다. 그에 반해 ddr5는 가장 낮은 수준이 4800Mhz이고, 가장 높은 제품이 8000Mhz입니다. 약 10~90% 정도 ddr5가 더 빠르네요.
사실 아주 간단한 작업(문서 편집, 웹 서핑 등)은 10% 더 빨라지는 것이 큰 차이가 나진 않지만, 게임이나 고사양 영상 편집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납니다. 실제 배틀그라운드 게이머들은 ddr5 램을 쓸 때 배틀그라운드 인게임에서 fps가 10% 정도 증가하는 것을 느꼈다고 합니다. 10%만큼 렉이 줄고 부드러워졌다는 뜻입니다.
2.3 ddr4 ddr5 기어비 차이
클럭 속도가 빠르다고 무조건 컴퓨터가 빨라지는 건 아닙니다. 램이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해도, 데이터를 받는 ‘메모리 컨트롤러’가 빠르지 않으면 컴퓨터 속도가 여전히 느립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를 하나 들겠습니다.
도서관에 책 배달부(램)가 도착했습니다. 이 책 배달부는 힘이 세고 일도 잘해서 한 번에 엄청나게 많은 책을 배달할 수 있습니다. (높은 클럭 속도) 하지만 책 배달부만 일을 잘 한다고 도서관에 책이 빨리 정리되지 않습니다. 책이 배달된 후, 도서관 사서(메모리 컨트롤러)가 책을 빠르게 책꽂이에 꽂아야 비로소 책이 빨리 정됩니다. 따라서 책 배달부(램) 뿐만 아니라 도서관 사서(메모리 컨트롤러)도 일을 잘해야 도서관에 책이 빨리 꽂힙니다.
이때 ‘기어비’라는 개념이 나옵니다. 책 배달부(램)와 도서관 사서(메모리 컨트롤러)가 똑같은 속도로 일을 하면 기어비가 1대1, 즉 1입니다. 하지만 도서관 사서(메모리 컨트롤러)가 책 배달부(램)에 비해 절반 정도 속도로 밖에 일을 못하면 기어비는 1대2, 즉 2입니다. 기어비가 2일 때보다 기어비가 1일 때, 도서관 사서(메모리 컨트롤러)가 일을 잘 한다는 뜻이므로, 기어비가 1일 때 컴퓨터 속도가 훨씬 빠릅니다.
ddr4는 기어비를 1로 쓸 수도 있고, 기어비를 2로 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ddr5는 아직 출시된 지 오래되지 않아 기어비2로만 쓸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고사양의 ddr4와 저사양의 ddr5를 비교하면 아직 ddr4가 더 빠른 경우도 많습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4400mhz의 ddr4가 4800mhz의 ddr5보다 메모리 읽기와 쓰기, 복사 부문에서 더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4 ddr4 ddr5 전력 소모 차이
램이 전력 소모를 덜 할수록 전력 효율이 좋아집니다. 노트북이라면 배터리를 더 오래 쓸 수 있고, 유선으로 연결하는 데스크탑이라면 전기세 부담이 덜 하겠죠?
ddr4은 1.2v 전압을 사용하고, ddr5는 1.1v전압을 사용합니다. 약 10% 정도 ddr5가 낮은 전압을 사용하네요. 원래 10000원 나오던 전기세가 9000원 정도 나온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개인 컴퓨터로는 큰 차이가 느껴지지 않을 수 있으나, pc방 같은 대규모 환경에서는 매우 큰 차이죠.
참고로 램의 제조사나 모델에 따라 전력 소모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3. ddr4 ddr5 선택 가이드
만약 현재 ddr5 메모리만 사서 업그레이드를 하려고 한다면 그냥 ddr4를 계속 쓰시길 권장합니다. ddr5 램만 사서 업그레이드를 하려면 메인보드와 램을 모두 사야 하는데, 아마 20만원은 쉽게 깨질 겁니다. 컴퓨터 뚜껑을 뜯어야 하는 귀찮음도 있고요.
물론 ddr5가 정말 월등히 성능이 좋다면 20만원이라도 내겠으나, 아직은 그 정도로 성능 차이가 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차라리 가볍게 오버 클럭을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직 오버 클럭을 하지 않은 유저의 경우)
하지만 pc 자체를 새로 구매하는 상황이라면 ddr5 램이 탑재된 제품을 구매하는 것도 좋은 선택인 것 같습니다. pc의 교체 주기가 3~6년 정도임을 감안하면, 향후 ddr5를 일반적으로 쓰게 되는 날이 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메인보드를 추가로 구매할 필요도 없고, 뚜껑도 안 따도 되니까 더욱 좋죠. 물론 기본적인 문서 작업만 하는 분들은 ddr4로 사셔도 전혀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