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e Emulator 로케일 에뮬레이터 설치 및 사용법

로컬 에뮬레이터라고도 불리는 로케일 에뮬레이터(Locale Emulator)는 주로 일본판 게임을 윈도우(Windows)에서 구동하는 데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아무래도 국내 버전 윈도우에서 일본어에 대한 지원이 원활하지 않을 때가 있는데, 로케일 에뮬레이터를 쓰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로케일 에뮬레이터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로케일 에뮬레이터 설치

로케일 에뮬레이터는 윈도우 XP이상의 버전에서만 구동됩니다. 따라서 윈도우7~11을 쓰고 계신 분들만 아래 과정을 따라갈 수 있습니다.

  1. 깃허브에 접속하여 가장 최신 버전의 zip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가장 위에 있는 버전이 최신 버전입니다.
  2. zip 파일을 다운로드 한 뒤, 압축을 해제합니다. 파일 탐색기에서 해당 폴더 찾은 뒤, 우클릭하여 ‘압축 풀기’를 누르면 쉽게 압축을 풀 수 있습니다.
  3. 압축 파일 안에 있는 LEInstaller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설치를 실행합니다.
  4. LE Context Menu Installer가 뜨면 ‘Install for current user’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5. 가벼운 파일이라 클릭과 동시에 설치가 완료됩니다.
로케일 에뮬레이터 설치 파일 받기
깃허브에서 zip 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 후 압축 해제
다운로드 후 압축 해제
LEInstaller.exe 실행
LEInstaller.exe 실행
Install for current User 클릭
Install for current User 클릭

만약 조금 더 공신력 있는 회사에서 만든 프로그램을 쓰고 싶다면, Microsoft에서 만든 어플로케일(Applocale)을 쓰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다만 이 프로그램은 윈도우 10을 지원하지 않으며, 출시된 지도 오래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2. 로케일 에뮬레이터 사용법

2.1 사용 설정

먼저 사용 설정 방법입니다. 파일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압축 해제한 폴더 내에 다음 파일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LECommonLIbrary.dll
  • LEContextMenuHandler.dll

설치 이후 위 2 가지 파일이 추가되긴 했지만, 사용자가 이 파일을 건드려야 할 일은 없습니다. 대신 사용자가 자주 조작하는 파일은 ‘LEGUI’입니다. 이 파일은 사용자의 설정을 조정하는 파일인데요.

LEGUI 실행
LEGUI 실행

다른 부분은 자주 조작할 일이 없지만, 만약 프로그램에 오류가 생긴다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에 체크 후 재시도 해보시기 바랍니다.

2.2 언어 패치

먼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 팩 현재 윈도우에 추가해야 하는데요. 아래 과정을 통해 언어 추가를 할 수 있습니다. 먼저 윈도우11이라면 다음 과정을 거칩니다.

  1. [윈도우키+i키]로 설정 창 열기
  2. [시간 및 언어]로 이동
  3. [언어 및 지역]으로 이동
  4. [언어 추가] 클릭 후, 이용하고자 하는 언어 선택
  5. 이용하고자 하는 언어 클릭
  6. [다음] 버튼을 눌러 언어 팩 다운로드

만약 윈도우 10이라면 아래 과정을 따라해 주세요.

  1. [윈도우키+i키]로 설정 창 열기
  2. [시간 및 언어]로 이동
  3. [언어]로 이동
  4. 스크롤 내려서 [언어 추가] 클릭
  5. 이용하고자 하는 언어 클릭
  6. [다음] 버튼을 눌러 언어 팩 다운로드

2.3 Locale emulator 실행

실행 방법은 상대적으로 간단합니다. 다음의 4단계만 따라해 주세요.

  1. 실행하고자 하는 앱 우클릭
  2. 윈도우 11이라면 ‘추가옵션 표시’ 클릭
  3. ‘로케일 에뮬레이터’ 클릭
  4. ‘Run in Japaness (Admin)’ 클릭 (다른 언어를 사용 중이라면 해당 언어를 클릭하세요.)
Run in Japaness (Admin) 클릭하여 실행
Run in Japaness (Admin) 클릭

만약 매번 우클릭하여 실행하기가 귀찮다면 다음 과정으로 바로 가기를 만드세요.

  1. 실행하고자 하는 앱 우클릭
  2. ‘로케일 에뮬레이터’ 클릭
  3. ‘애플리케이션 프로필 수정’ 클릭
  4. 필요한 설정 맞춰놓기
  5. ‘바로가기 생성’ 클릭
바로가기 생성 방법
바로가기 생성 방법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별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별점 5 / 5. Vote count: 5

No votes so far! Be the first to rate this post.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