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에는 Windows defender가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습니다. 윈도우 디펜더는 좋은 보안 프로그램이지만, 경우에 따라 윈도우 디펜더를 꺼야할 때도 있는데요. 보통은 다른 보안 프로그램을 쓰려고 할 때나, 백신 때문에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못할 때 윈도우 디펜더를 많이 끕니다.
오늘은 이렇게 윈도우 디펜더를 끄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 디펜더를 끄는 방법은 3가지 입니다. 참고로 이 방법은 윈도우10과 윈도우11에서 모두 적용됩니다.
목차
1. 설정 창에서 끄기 (윈도우 디펜더 일시 중지)
먼저 ‘설정’ 창에서 윈도우 디펜더를 중단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가장 간편하지고 안전하지만, 일시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방법을 적용해서 윈도우 디펜더를 꺼도 컴퓨터를 껐다 켜면 윈도우 디펜더가 다시 켜집니다. 따라서 일시적으로만 윈도우 디펜더를 끌 때 권장하는 방법입니다.
- [시작] 버튼 클릭-[설정](톱니 바퀴 모양 아이콘) 클릭-[업데이트 및 보안] 클릭-[Windows 보안] 클릭 (윈도우 10 기준, 윈도우11은 각주 참고)1
- 화면 중앙의 [Windows 보안 열기] 클릭
-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클릭
- 화면 중앙의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 밑에 [설정 관리] 클릭
- [실시간 보호], [클라우드 전송 보호],[자동 설정 보호]를 모두 ‘끔’으로 설정




해당 정보는 Microsoft 공식 홈페이지를 참조했습니다.
2. 레지스트리에서 윈도우 디펜더 끄기
레지스트리에서 윈도우 디펜더를 끄면 사용자가 설정을 바꾸기 전까지 무기한으로 윈도우 디펜더를 끌 수 있습니다.
- ‘윈도우키+R키’를 눌러 실행 창 열기
- 명령어 ‘regedit’ 입력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 열기
- 왼쪽 메뉴에서 [HKEY-LOCAL MACHINE]-[SOFTWARE]-[Policies]-[Microsoft]-{Windows Defender] 순서로 들어가기
- Windows defender 마우스 우클릭-‘새로 만들기’에 마우스 가져가기-‘DROWD 32비트’ 클릭
- 새 파일이 나타나면 ‘DisableAntiSpyware’로 이름 변경 (대소문자 구별에 유의)
- ‘DisableAntiSpyware’ 더블 클릭하여 입장
- ‘값 데이터’에 1 입력 후 ‘확인’ 클릭
- 컴퓨터 재부팅
- 윈도우 디펜더 끄기 완료



위 단계의 7번 과정에서 값 데이터를 0으로 다시 바꾸면 윈도우 디펜더를 다시 켤 수 있습니다. 만약 이 방법이 통하지 않는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세요.
3.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에서 윈도우 디펜더 끄기
이 방법은 기본적으로 윈도우 Pro 버전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Window Home 버전을 사용 중이라면 로컬 그룹 정책기를 다운 받으세요.
- ‘윈도우키+R키 눌러 실행 창 열기
- ‘gpedit.msc’ 입력하여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열기
- [컴퓨터 구성]-[관리 템플릿]-[Windows 구성 요소]-[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순서로 더블 클릭 (윈도우11은 ‘Microsoft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 우측 메뉴에서 [Microsoft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끄기] 마우스 우클릭-‘편집’ 클릭
- 좌측 상단의 ‘사용’ 클릭 후, 하단의 ‘확인’ 버튼 클릭
- 컴퓨터 재부팅
- 윈도우 디펜더 끄기 완료


윈도우 디펜더를 다시 키려면 ‘사용’으로 바꿔둔 설정을 ‘구성되지 않음’으로 다시 바꾸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윈도우 디펜더를 끄는 3가지 방법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 *윈도우11이라면 [시작]-[설정]-[개인 정보 및 보안]-[Windows 보안]으로 들어가면 됩니다. ↩︎